연구주제
외계행성 탐색시스템을 활용하는 과학연구 주제는 우리은하 중심부(벌지 영역)를 관측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2개로 구분할 수 있다. 벌지 시간(아래 그림 빨간색; 전체 관측시간의 약 46%)에는 3개 관측소 장비를 모두 활용하여 우리은하 중심부를 24시간 연속 모니터링 관측하며, 이 자료는 아래의 4개 과제에서 공동으로 활용하고 있다.
-
1) Search for exoplanets using the microlensing method
2) Search for transiting exoplanets
3) Search for variable objects
4) Data mining in search for asteroids and comets
비벌지 시간(아래 그림 파란색)을 활용할 관측과제는 2012년에 천문학계 공모를 통하여 아래의 7개 과제가 선정되었으며, 2019년까지 총 관측시간의 약 34%를 활용할 예정이다.
-
1) Supernova research using the KMTNet facility
2) The KMTNet Deep Ecliptic Patrol of the SOUTHern sky: The DEEP-SOUTH-survey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asteroids and comets
3) Deep wide-field imaging of nearby galaxies
4) Detection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ultra-faint Milky-Way satellite galaxies in the southern hemisphere
5) BVI,Ha photometric survey of the Magellanic Clouds
6) KMTNet Intensive Nearby southern Galaxy group Survey (KINGS)
7) Probing the vicinity of supermassive black holes with AGN variability
이외에 관측시간의 10%는 남반구 관측소 설치 국가와의 국제공동연구에 활용하며, 나머지 10%는 대장 및 기기점검 시간으로 일시적이면서도 중요한 천체현상을 관측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남반구 관측소의 월별 관측가능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