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10 / 오후 05:03:53
KMTNet 시스템을 활용하여 초신성 탐색연구를 진행하는 KSP 팀에서 폭발 후 1시간밖에 되지 않은 초신성 ‘SN 2018aoz’ 관측에 성공했다. 이번 발견은 Ia형 초신성 관측 역사상 가장 어린 시기의 빛을 포착한 것으로, Ia 초신성이 어떻게 폭발하는지를 설명하는 관측적 증거를 제시했다. 이 결과는…
자세히 보기 +
2022-03-10 / 오후 05:03:23
KMTNet 시스템을 활용하여 우리은하에서 지구 크기만한 나홀로 행성을 발견했다. 이 행성은 지구 질량의 약 0.3배이고, 우리은하 원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발견은 미국, 폴란드, 한국천문연구원의 국제공동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보도자료 링크] 그림1. 미시중력렌즈 방법으로 발견한 나홀로 행성의 상상도 그림2.…
자세히 보기 +
2020-11-02 / 오전 11:11:24
2020년 8월 27일 KMTNet 워크숍을 비대면 온라인 화상회의로 개최하였다. 특히 KMTNet 1단계 사이언스 관측을 마무리하는 차원에서 그간의 주요 실적과 운영 에피소드 등을 공유하였고, 2단계 사이언스 관측에 대한 토의를 진행하였다. ● 발표자료 – KMTNet 운영 현황 및 계획 – …
자세히 보기 +
2019-08-26 / 오후 04:08:52
KMTNet 시스템을 활용하여 초신성 탐색 연구를 진행하는 KSP 팀에서 이제까지 발견된 왜소신성보다 거리가 가장 멀고, 우리은하의 헤일로에 존재하는 왜소신성(KSP-OT-201611a)을 발견하였다. [보도자료 링크] 그림. 왜소신성 KSP-OT-201611a 관측영상 ※ 왜소신성 : 쌍성계의 한 별이 동반성으로부터 빛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을 재공급 받으면…
자세히 보기 +
2019-06-28 / 오후 01:06:16
KMTNet 시스템을 활용하여 태양계 소천체를 연구하는 DEEP-SOUTH 팀에서 ‘2018 PP29’로 명명된 지구위협소행성(PHA,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 1개와 2018 PM28’라고 이름 붙여진 근지구소행성(NEA, Near Earth Asteroid) 1개를 발견하였다. [보도자료 링크] 그림 1. 2018 PP29의 발견 영상 그림 2. 2018 PM28의 발견 영상 ※…
자세히 보기 +